아두이노와 릴레이 모듈

릴레이는 전자석의 원리와 전자기유도원리를 이용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장치이다. 쉽게 말해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라고 보면 된다 (=스위치랑 비슷) 릴레이의 종류를 살펴보면(아마 살펴보지 않을테지만…), 5V릴레이, 12V릴레이, 1채널, 2채널, 3채널…릴레이가 존재한다. 5V와 12V의 차이는 5V릴레이는 5V로 작동하는 릴레이이고, 12V릴레이는 12V로 작동하는 릴레이라고 보면 된다. 아두이노 핀 중 3.3V와 5V를 뽑아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아두이노와 …

아두이노로 온습도 센서 사용하기

온습도 센서란? 필요전압 : 3.3 ~ 5.5V측정범위온도 : 0 ~ 50 ℃  ±2℃습도 : 20 ~ 90%RH ±5%RH Datasheet 다운로드 라이브러리 포함하기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ZIP파일 형태로 추가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라이브러리 관리에 들어가서 라이브러리를 검색하는 것입니다. 저는 후자로 라이브러리를 추가해보겠습니다. 준비물 NO 부품명 수량 1 아두이노 UNO R3 1 …

라인트레이서 코드 작성

우리는 이전 시간까지 RC카의 외형을 조립하고, 모터드라이버로 DC모터를 제어하는 방법,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까지 익혔다. 이제 라인트레이서를 완성하기 위해 (거의) 모든 사전 작업을 끝냈다! 이제 각각을 결합하고 자동차에 라인트레이서의 영혼을 넣어주면 된다!!! 적외선 센서는 디지털 12번, 13번 pin에 연결하도록 한다. 코드 모터 드라이버 쉴드를 L293D를 이용할 경우에는 아래코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아두이노로 적외선 센서 이용하기

적외선 센서란 적외선 센서는 크게 두가지 모듈이 상호작용한다. 바로 적외선LED(IR-LED)와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이다. 먼저 IR-LED(적외선 LED)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모듈이다. 적외선을 방출하는 곳이 발광부, 인식하는 곳이 수광부라고 보면 된다. 포토트랜지스터는 IR-LED가 방출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양을 감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물체가 적외선 센서로 부터 멀리 떨어져있다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양이 적을 것이고, 물체가 바로 앞에 가까이 있다면 …

초음파 센서로 LED 제어하기

저번 시간에는 초음파란 무엇인지, 그리고 초음파 센서의 작동방식에 대해서 학습했다. 이번에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LED를 ON/OFF하는 예제를 실습해보자. 아두이노 기초 프로그래밍에서, 조건문(if문)을 배웠는데, 조건문을 이용하여, 일정거리 이하일 때 LED를 ON하고, 일정거리 이상일 때 LED를 OFF하도록 해보자. 준비물 NO 부품명 수량 1 아두이노 UNO R3 1 2 초음파 센서(HC-SR04) 1 3 LED 1 4 330Ω 저항 1 …

아두이노로 초음파 센서 이용하기

초음파(Ultrasonic)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20~20000Hz 사이의 영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다. 초음파의 속도는 일반 공기중에서 약 340m/s이며, 파동의 성질인 확산, 흡수, 산란 등에 의해 감쇠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초음파 센서는 이미 로봇 청소기 같은 가전제품에서부터 자동차의 감지 센서, 초음파 탐지기 등 의료용,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음파 센서는 종류에 따라 생성하는 …

아두이노로 서보모터 제어하기

아두이노로 서보모터를 제어해보자. 서보모터는 주로 각도를 정밀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서보 (Servo)의 어원은 라틴어의 Servue로서 노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목표치에 대한 위치, 방위, 자세 등의 제어가 자동화되어 있는 장치 이름에 붙여지곤 한다. 이와 같이 서보모터는 모터와 기어박스 그리고 제어회로로 구성되어있어, 특정 위치로 이동하거나, 특정한 수치(속도 등)만큼 가동시킬 때, 모터로 부터의 피드백을 통해 정확하게 …

아두이노로 브레드보드에서 LED 깜빡이기

가장 기본적인 예제인 아두이노로 LED 깜빡이기를 실습해보자! 우선, 아두이노의 pin map을 살펴보자. A0~A5는 analog pin이고, 0~13은 digital pin이다. 0번과 1번 핀은 TX(Transmitter), RX(Reciever)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사용할 때 듣게 된다. 보통 아두이노 자체 시리얼 통신과 충돌할 수 있어 통신모듈과는 잘 쓰지 않는다. LED(Light Emitting Diode=발광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빛이 나는 …